中 AI, 개인 정보 해킹 논란에 美, 딥시크 철퇴 예고

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 하원의 다린 라후드(공화당·일리노이)와 조시 고테이머(민주당·뉴저지) 의원이 딥시크 AI 앱 사용 금지 법안을 발의할 계획이다. 고테이머 의원은 "중국이 미국 정부 정보를 탈취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당연한 조치"라며 법안 추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라후드 의원 역시 "중국 공산당이 민감한 정부 및 개인 데이터를 입수하는 것을 절대 허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사이버 보안업체 페루트시큐리티의 이반 차리니 최고경영자(CEO)는 "AI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분석 결과, 딥시크의 코드에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중국 국영통신사 차이나모바일로 전송하는 기능이 숨겨져 있다"며 "중국 정부의 통제 아래 있는 서버들과의 직접적인 연결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딥시크와 모회사인 중국 헤지펀드 하이플라이어, 차이나모바일 측은 아직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딥시크는 '저비용 고성능' AI로 알려져 있으며, 지난달 무료 출시한 추론형 모델 'R1'이 오픈AI의 챗GPT 'o1'과 비슷한 성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으며 큰 주목을 받았다. 글로벌 데이터 분석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딥시크 AI 앱은 출시 18일 만에 전 세계적으로 1600만 회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국내에서도 출시 일주일 만에 121만 명이 사용하면서 챗GPT(493만 명)에 이어 생성형 AI 2위에 올랐다.
그러나 보안 우려가 확산하면서 각국 정부와 기관, 기업이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조치를 잇달아 시행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국방부, 항공우주국(NASA), 하원의회 등이 직원들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호주와 일본 역시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막았으며, 이탈리아 정부는 지난달 딥시크 다운로드 자체를 차단했다. 대만 정부도 공무원, 공립학교, 준관영 조직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 정부는 민간기업에 불법적인 데이터 수집과 저장을 요구하지 않는다"며 "이 같은 조치는 일방적인 정치적 공세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국은 경제·무역·과학기술 문제의 정치화를 반대하며, 중국 기업의 합법적인 권익을 단호히 수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과 서방 국가들의 대응이 강화되면서 딥시크를 둘러싼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중국산 AI 기술에 대한 보안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향후 글로벌 AI 시장에서 미·중 간의 기술 패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 31살에 29억 벌고 먼저 은퇴해, 비법없고 규칙만 지켰다!
- 50대 부부 한알 먹고 침대에서 평균횟수 하루5번?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로또1등 "이렇게" 하면 꼭 당첨된다!...
- 먹자마자 묵은변 콸콸! -7kg 똥뱃살 쫙빠져!
- 월3000만원 벌고 싶으면 "이 자격증"만 따면 된다.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당뇨환자', '이것'먹자마자
- [화제] 천하장사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농협 뿔났다" 로또1등 당첨자폭주.. 적중률87%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서울 동작구" 집값 상승률 1위…이유는?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비x아그라 30배! 60대男도 3번이상 불끈불끈!
- 10만원 있다면 오전 9시 주식장 열리면 "이종목" 바